쌀 도정일자, 품종 확인해야 하는 이유
쌀 도정일자, 품종 확인해야 하는 이유
한국인은 밥심으로 살아간다는 말이 있듯이 쌀은 없어서는 안될 탄수화물입니다. 예전에 비해 요즘은 맛에 대한 관심도가 높습니다.
집에서 맛있는 밥을 먹기위해서는 무조건 비싸거나 가격만을 보고 고르는 것보다 중요한것이 쌀 도정일자를 확인하는것 입니다.
도정 일자란 벼를 수확하고 벗겨내는 과정을 거치는 날로 쌀의 도정 일자 날짜로부터 밥맛이 유지되는 유통기한이라 할 수 있습니다.
쌀 구매 방법으로는 도정 일자를 먼저 확인하고 다음으로 품종과 등급을 확인하고 고르는것이 밥을 지었을때 맛있는 쌀밥을 먹을 수 있습니다.
쌀은 도정한 날로부터 시간이 지날수록 산패가 되면서 영양가와 맛이 떨어지기 때문에 밥 맛이 점점 없어지게 됩니다.
먼저 쌀 구입시 도정 일자가 최근일수록 좋은데 본연의 맛을 유지하기 위해 도정 후로부터 2주 (15일) 이내 쌀을 소비하는것 좋겠습니다
15일이 넘어가면 수분이 증발하면서 상품력이 떨어지고, 국내쌀이 아닌 수입산의 쌀도 마찬가지로 쌀의 맛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쌀을 구매할 때 밥맛을 위해서는 소량으로 가끔 구입하는 것이 좋고, 냉장고 맨 아래 야채칸에 밀봉하여 보관하는것이 산패되는것을 늦춰줍니다.
쌀과 공기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신선한 쌀의 유지를 위해서 생수 페트병에 담아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고 빨리 소비하는게 좋습니다.
품종은 단일품종으로 삼광,운광,영호진미,오대쌀,신동진, 해들 등 이 있는지 보면 되고, 혼합이라 쓰여있는것은 밥맛의 균형이 깨지는 이유 입니다.
단순히 배를 채우기 위한 주식이 아니라 맛있는 밥을 먹기위해서 쌀의 신선도가 중요하므로 쌀 도정일자, 품종을 확인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