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023의 게시물 표시

지폐 찢어진 돈, 훼손된 돈 얼마나 받을수 있을까?

이미지
  지폐 찢어진 돈, 훼손된 돈 얼마나 받을수 있을까? 예전처럼 현금을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가끔 현금 할인 또는 필요할때가 있어서 어느정도는 지갑에 넣어가지고 다니는데요. 특수한 종이재질로 만들어졌지만 쉽게 찢어질수도 물이나 불에도 취약합니다. 찢어진 돈,  훼손된 돈 교환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지폐는 일반 종이가 아닌 100% 순면으로 만들어져 물에 빠지거나 불에 타더라도 그림과 글씨 인쇄가 어느정도 남는다고 합니다. 세탁기에 옷을 돌릴때 주머니 확인을 안하는 경우 돈이 같이 세탁되는 경우, 개가 물어서 찢어지거나 훼손된 돈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훼손된 돈의 지폐 찢어진 상태가 반 이상이면 해당 지폐 금액의 전체가 아닌 반만 받을 수 있습니다. 반 이상이 남으면 전액 교환 가능합니다. 지폐 비율 면적이 4분의 3이상 남아있으면 해당 금액의 전액을 교환 받을 수 있지만 만약 돈의 면적이 5분의 2미만은 교환이 안됩니다. 화재로 인한 불에 탄 경우 재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데 그을렸지만  형체가 남아 있다면 그대로 가져가서 새 돈으로 교환이 됩니다. 퍼즐 조각처럼 찢어진 경우에는 지폐 형태로 퍼즐을 맞춘 후 변형된 후의 면적을 기준으로해서 위조지폐는 아닌지 확인되면 교환이 됩니다. 글씨 등으로 낙서가 있는 경우나 오염 물질이 묻어 더러운 경우에는 상대에게 불쾌감을 줄 수는 있으나 지폐로 사용 할 수 있겠습니다. 오염된 돈의 경우도 교환이 가능하고, 동전의 경우 눈으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아니라 육안으로 확인이 되면 교환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까운 은행을 방문해 훼손된 돈을 교환받거나 훼손이 많이 된 경우 한국은행 본점 또는 각 지역의 한국은행 지점을 방문하면 됩니다.

쌀 도정일자, 품종 확인해야 하는 이유 

이미지
  쌀 도정일자, 품종 확인해야 하는 이유  한국인은 밥심으로 살아간다는 말이 있듯이 쌀은 없어서는 안될 탄수화물입니다. 예전에 비해 요즘은 맛에 대한 관심도가 높습니다. 집에서 맛있는 밥을 먹기위해서는 무조건 비싸거나 가격만을 보고 고르는 것보다 중요한것이 쌀 도정일자를 확인하는것 입니다. 도정 일자란 벼를 수확하고 벗겨내는 과정을 거치는 날로 쌀의 도정 일자 날짜로부터 밥맛이 유지되는 유통기한이라 할 수 있습니다. 쌀 구매 방법으로는 도정 일자를 먼저 확인하고 다음으로 품종과 등급을 확인하고 고르는것이 밥을 지었을때 맛있는 쌀밥을 먹을 수 있습니다. 쌀은 도정한 날로부터 시간이 지날수록 산패가 되면서 영양가와 맛이 떨어지기 때문에 밥 맛이 점점 없어지게 됩니다. 먼저 쌀 구입시 도정 일자가 최근일수록 좋은데 본연의 맛을 유지하기 위해 도정 후로부터 2주 (15일) 이내 쌀을 소비하는것 좋겠습니다 15일이 넘어가면 수분이 증발하면서 상품력이 떨어지고, 국내쌀이 아닌 수입산의 쌀도 마찬가지로 쌀의 맛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쌀을 구매할 때 밥맛을 위해서는 소량으로 가끔 구입하는 것이 좋고, 냉장고 맨 아래 야채칸에 밀봉하여  보관하는것이 산패되는것을 늦춰줍니다. 쌀과 공기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신선한 쌀의 유지를 위해서 생수 페트병에 담아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고 빨리 소비하는게 좋습니다.  품종은 단일품종으로 삼광,운광,영호진미,오대쌀,신동진, 해들 등 이 있는지 보면 되고, 혼합이라 쓰여있는것은 밥맛의 균형이 깨지는 이유 입니다. 단순히 배를 채우기 위한 주식이 아니라 맛있는 밥을 먹기위해서 쌀의 신선도가 중요하므로 쌀 도정일자, 품종을 확인해야 하는 이유입니다.